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2021.12.13] 염승환 이사 일일시황/E트렌드/염블리

by 행복하나영 2021. 12. 13.
반응형


12.13 마감시황


오전에 신나게 달리다가 종가에 최저가로 빠졌다.
코스닥도 오후에 밀렸다. 오늘은 그렇게 좋은 모습은 아니다. 외인이 많이 던졌다.
연기금 오랜만에 샀다. 12월 들어와서 기관이 사고 있다.
개인들은 지속적으로 팔고 있다. 삼성이 로봇관련 투자한다고해서 로봇 관련주 오늘 튀어올랐다. 애플카 이슈로 lg전자 좋았다.
2차전지 소재 가격부담으로 오늘 떨어졌다.
자동차 관련주 오늘좋았다.
NFT 게임주 오늘 급락했다.
대부분 오늘 밀렸다. 오후에 급격히 빠졌다. 증시는 답답한 상황에서 끝이 났다.
하지만 12월 분위기 좋다. 못난이 역할 하는 자동차도 살아나고있고 수급도 좋은 상황이니 너무 걱정하지 말자.



[자이에스앤디] 이베스트, 김세련


- 자이에스앤디와 GS건설이 지에프에스를 통해 S&I건설을 인수

- LG그룹의 건설 자회사를 인수

- 공정거래법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일감몰아주기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 LG의 S&I 건설 분할 및 매각이 불가피한 실정

- 전환상환우선주를 발행. 주당이익이 26.4% 감소. S&I건설 연결실적 반영을 하면 주당이익이 80% 증가하는 효과

- 목표주가 15000원 상향 조정



[에이비엘바이오] 이베스트, 강하나


- 신약개발보다는 바이러스 관련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그간 많았던 상황. 11월 이후부터는 다시 원천기술과 신약개발에 관심이 증가

- 뇌신경계 질환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올해 6월 바이오젠의 아두카누맙 승인에 이어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관련 빅딜 나오는 상황

- 아두카누맙의 경우 BBB투과율이 0.3%에 불과한 상황(혈액-뇌장벽 투과). 뇌는 아주 촘촘한 방어막인 BBB로 쌓여있어 일반적인 물질이 통과하기 어려운 상황

- 약물의 효능 자체가 기대이하로 평가 받는 지금, BBB 셔틀의 필요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 원숭이 데이터 결과 기존 제품 대비 13배의 투과율

- 동사는 BBB셔틀을 보유, 경쟁사 디날리에 비해 안정성에서 탁월한 편. 1월 JP모건헬스케어 컨퍼런스는 바이오주에 호재.



[AR/VR을 넘어서 홀로그램의 시대로] 카카오페이증권, 이승철


- 2020년 11월 네이처지에 슬림패널 홀로그램 기기 연구와 관련된 논문을 삼성종합기술원과 삼성디스플레이가 발표. 예상보다 기술력이 좋다는 평가

- CES에서도 공개를 기대

- Waveguide 핵심기술 보유한 디지렌즈 사를 삼성전자와 삼성전기가 지분투자. 픞로그래밍을 위해서는 FPGA 기술이 적용

- 양산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나 충분한 이벤트는 될 전망. 삼성전자, 삼성전기 뿐아니라 큐에스아이, 한솔테크닉스



[한국 LNG선 수주 66척, 그만해] 한국투자증권, 최광식


- 삼성중공업이 지난 주 LNG 3척 수주, 지지난주 대우조선해양 6척 수주




[2차전지, 셀메이커 몸값 상승] 하나금융, 김현수


- 폭스바겐 CEO가 배터리 사업 분사 가능성을 언급. 배터리가 정말 중요한 것을 암시하는 내용

- 내재화도 가능을 하겠지만 배터리 회사와 자동차 회사간의 협력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폭스바겐 자체 배터리 생산 목표치를 낮춘 상황. 5년 후 대비 75%, 10년 후 내재화 목표치 대비 33% 낮아졌음.

- 배터리 제조사에게 호재 :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마진 훼손분을 상당부분 OEM으로부터 보전받게 됨에 따라 흑자전환 임박

- 반도체 공급부족도 해소 기대. 중국 업체대비 과도한 할일율 해소를 기대. 2차전지 제조사를 주목




[날개단 애플, 이유있는 상승] KB, 김동원


- 메타버스 XR, 애플카

- 주요 부품 공급업체 선정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

- 미중 갈등으로 중국 업체 선정은 어려운 상황

-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은 XR 헤드셋에 적용되는 부품 납품 전망

- LG전자는 애플카 기대. 파트너사를 기대




[LG디스플레이] 신한, 김찬우/ 박형우


- 목표주가 3만원 상향

- 삼성에 OLED 납품설, LCD 대량 납품설

- 삼성전자는 tv 1등 기업. 납품자체가 호재

- 중국 의존도 탈피. 물량 증가 긍정적

*24000~24500원 사이에서 줄여도 된다.



[POSCO] 하나금융, 박성봉


- 43조원 수준의 기업가치를 30년까지 3배이상 상승시키려는 목적

- 사업 자회사는 상장을 안시키는게 원칙. 지주사 하나만 상장

- 1월 28일 임시주총. 전자투표도 가능(1월18~27일까지)



[철강 주간 동향 :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 하나금융투자, 박성봉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 지난 10일까지 베이징에서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 개최. 아래 내용은 하나금융투 자 중국 투자전략을 담당하고 있는 김경환 위원 자료에서 발췌.

-1) 핵심 기조가 '21년 '감독규제'에서 '22년 '안정'으로 전환.

-2) 거시경제 안정과 적극적인 정책 부양이 우선 순위(인프라 투자 의 조기 집행과 신규 감세정책 시행을 이례적으로 강조, 안정적인 통화정책과 풍부한 유동성 유지 언급)

-3) 공동부유는 장기 목표임을 다시 강조하고 여전히 부의 확장이 우선탄소 중립 목표와 정책 의지는 유효하지만 현실을 고려해 강 도/템포 조율 가능성 시사

-결과적으로 올해 여름부터 중국의 고정투자가 급격히 악화되면서 철강 수요가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로 중국 철강 수요는 내년 2분기부터 서서히 회복될 것이라는 기존 전망 유 지

- 다만 내년 2분기부터 철강 감산 강도 약화 가능성을 배제 못해. 그럼에도 불구, 내년에도 연간 생산량은 올해 대비 감소할 전망




[원준] NH, 강경근


- 2차전지 소재 생산에 필요한 장비를 제공하는 기업. 열처리 장비. 포스코, 에코프로비엠 등에 공급

- 배터리 소재 증설 트렌드에 따라 동사 장비 수요 증가 전망

- 전고체, 탄소섬유 등으로 사업분야 다각화 진행 중. 지난해 열처리 기업인 아이젠만(독일) 인수

- 22년 영업이익은 109% 증가 전망. PER 12.3배

*1월 3개월 보호예수 풀렸을때 기억했다 급락하면 사자 (1월7일)




[아모센스] 신한, 박형우/ 고영민


- 아모그룹의 싱크탱크

- 무선충전모듈 40%, 차폐시트 32%, LTCC 기판 8%, 라이트닝 모듈,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 올해 실적은 적자지만 적자는 축소될 예정

- 공급난 이슈로 부진

- 수요차 다변화 중.. 사물인터넷, 5g, 전자필기구, 폴더블, 전기차, 자율주행 등 IT 부품 수요 증가세


[스튜디오드래곤] NH, 이화정


- 목표주가 13만원 유지

- OCN드라마 중단 등 올해는 부진

- 내년에는 드라마 제작 증가 기대

- 빈센조, 갯마을 차차차 흥행

- 내년에는 스위트홈2, 소년심판 등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공개 예정

- 이외에 4개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준비 중

- 헐리우드 진출. 애플tv 드라마 제작

- 4분기는 실적 부합. 188% 이익성장 기대



[원익머트리얼즈] 하나금융, 김경민


- 반도체 특수가스 공급사

- 4분기 매출액은 시장 기대치를 넘을 전망

- 22년 매출액도 크게 증가할 전망. 15.4% 증가

- 반도체 특수가스 공급사 분위기 훈훈

- 현재 PER 8.3배. 지나친 저평가



[기업결합 불허 가능성과 통상임금 소송 불확실성] 대신, 이동헌/ 이태환


- 현대중공어버의 대우해양 기업결합 관련 EU의 불허 가능성 외신보도

- LNG선 독과점 우려감이 작용

- 현대중공업 그룹 통상임금 소송 최종판결

- 12월 16일에 선고 공판이 열림

- 2012년 12월 현대중공업 근로자들이 소송 제기. 1심은 근로자, 2심은 업체가 승소

- 기업결합 영향 : 한국조선해양은 호재. 1.25조원 자금 활용이 가능. 현대중공업은 엔진 팔매량 기대감은 약화. 친환경시장 확대되어 영향은 중립적. 삼성중공업은 호재. 대우조선해양은 재무구조 개선 시간 필요.

- 통상임금소송 영향 : 패소 시 일회성 손실로 반영. 현대중공업,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 등이 영향

- 내년은 수주 감소. 23년부터는 구조적 성장



[한국조선해양] 신영, 엄경아


- 목표주가 16만원

- 중간지주사. 한국조선어버 턴어라운드 가치의 종착지

- 30% 할인율 적용한 적정주가는 152000원

반응형